경제 용어 완전 정복 : 가계 처분가능소득, 가계 순저축률 2가지

가계 처분가능소득과 가계 순저축률은 경제 지표로서 가계수지, 경상수지, 재정수지와 함께 국가와 가계부문의 경제적 상태를 평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가지 개념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계 처분가능소득, 가계 순저축률

가계 처분가능소득(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

가계 처분가능소득(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은 가계가 마음대로 소비와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국민총소득(GNI) 가계뿐 아니라 기업, 금융기관 정부가 벌어들인 소득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과 금융기관 등이 가계 부분보다 더 많은 소득을 벌어 1인 국민총소득(GNI)이 높아진 경우에는 가계가 느끼는 체감경기는 전체 경기와 차이가 있게 됩니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 Personal Gross Disposable Income)은 가계 부분의 총 처분가능소득을 연앙인구로 나누어 계산한 지표로 가계의 구매력을 가장 정확하게 가늠해 볼 수 있는 소득지표입니다.




가계 순저축률

가계 순저축률은 저축액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가계 순저축률은 가계 부분의 순 저축액을 가계 순 처분가능소득과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연금기금의 가계 순 지분 증감조정액을 합계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사회적 현물이전(social transfer in kind)이란 정부 등이 가계에 현물이전의 형태로 제공하는 재화 및 서비스로 무상교육, 보건소의 무상 진료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또한 연금기금에 가계 순 지분 증감조정액을 더하는 이유는 퇴직연금과 같이 가계가 납부한 연금 부담금과 연금 수취액의 차액을 반영해 가계 부분의 저축액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계 순저축률은 가계부분의 저축성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계 처분가능소득과 가계 순저축률은 국가의 경제 건강 상태와 소비 패턴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며, 경기변동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